본문 바로가기
미술

20세기 한국 미술: 민족과 세계의 정체성 고찰

by 냠냠똥과자 2024. 4. 4.
반응형

20세기 한국은 역동적인 변화와 전환의 시대였습니다. 이는 식민지 지배와 남북 분단 등의 역사적 사건들로 인해 한국의 미술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시대적인 변화는 한국의 정체성과 균형을 새롭게 탐색하고자 하는 과정으로 여겨집니다. 서구의 문화적 지배와 동양의 전통 사상 간의 충돌, 그리고 민족주의와 세계화의 양면성 등 다양한 이슈들이 미술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20세기 한국 미술사에서의 주요한 현안과 전망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우리는 미술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발견할 것입니다. 함께 이 시대적인 과제에 대해 고민하고, 한국 미술의 다양성과 풍부한 역사를 조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세기 한국의 정체성과 균형: 민족과 세계의 고민

20세기 한국은 지속적인 변화와 전환의 시대였습니다. 전반부는 식민지 시대로 시작되어 후반부는 남북 분단 시대로 이어졌습니다. 19세기말의 변혁은 다양한 입장과 새로운 시국과의 조우를 경험하는 일대 전환기였습니다. 이러한 국운의 기로는 민족의 자존심을 중시하는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국가적 상황 변화는 정체성의 문제를 부상시켰습니다. 정체성은 사회학적인 용어로 자신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판단의 집합으로 정의됩니다. 헤겔식 관점에서는 주체의 자기표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 주체가 자신을 동일한 주체로 인지하는 공통감각으로도 이해됩니다. 특히 20세기 한국에서는 민족적 주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이 주요한 이슈였습니다. 그러나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이 둘은 마치 새의 양 날개처럼 함께 나아가야 하지만, 그것이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특히 제3세계 국가로서 제국주의의 영향을 받은 한국은 민족성과 세계성을 어떻게 균형 있게 유지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세기 한국인은 자신의 정체성과 역할을 새롭게 탐색하고, 민족과 세계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서구의 지배와 저항: 한국 근대 미술에서의 정체성 탐색

오늘날에는 '세계'라고 하면 주로 서구 지역을 의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서구 문화와 미술이 주류로 인식되고, 파리나 뉴욕 같은 서구 도시가 미술의 중심지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이는 실제로는 문제가 있습니다. 서구의 영향력은 상당히 강력하며, 이는 종종 미술사에서도 반영됩니다. 이러한 시각은 비서구 국가들의 미술과 문화를 무시하거나 하위로 여기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근대 미술 역사에서도 서구 문화의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19세기 후반에는 서구 문물을 수용하는 동시에 방어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는 물질문화에서는 서방이 우월하고, 정신문화에서는 동양이 우월하다는 이중주의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어적 태도 속에서, 서방 문물과 동양 사상을 절충하고 융합하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일본의 화혼양재, 중국의 중체서용, 한국의 동도서기 등이 이러한 시도의 예시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 속에서도 일본이 서방 문물의 선봉에 서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19세기 후반 한국의 사상적 대립: 동도서기론 vs. 위정척사론

19세기 후반 한국의 사상적 풍조는 동도서기론과 위정척사론의 대립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정척사파'는 서양의 과학기술을 비롯한 모든 서구 문물을 거부하는 태도를 보였는데 반해, '동도서기파'는 전통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서양의 과학기술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동도서기론은 서양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이면서도 동양의 정신과 가치를 보존하자는 것이 핵심 주장이었습니다. 이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공통된 입장으로, 일본은 서기와 함께 서도도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지만, 한국은 과학기술을 순전히 실용적인 도구로만 인식하여 수용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이러한 입장에서 '동도서기파'는 일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왔지만, 위정척사파의 자주정신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위정척사파'는 자주를 강조하면서도 타국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는 확고한 자주의식을 보였는데, 이는 실제로 행동으로도 확인됩니다. 일제 강점기에 나라가 망할 때, 개화파가 아닌 위정척사파가 목숨을 걸고 투쟁하며 '자주독립'을 내세웠습니다. 개화파의 자주의식은 약육강식의 침략주의를 승인한 결과를 초래했지만, 위정척사파의 자주론은 인류의 평화 공존을 지향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위정척사파의 민족의식은 민족을 지상의 가치로 규정하는 민족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문화적 우월성에 대한 민족 자존의식이었습니다. 그러나 실학파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중국이 아닌 자체에서 찾으려 했습니다. 개화파가 계승한 실학사상은 민족문화의 우월성보다는 후진성에 대한 자각을 강조하여 외국문물 수용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20세기 한국 미술계의 비극과 정체성 문제: 남북 분단과 외세주의의 함정

20세기 한국의 미술계에서는 명멸한 미술가가 적지 않았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문현상에 이름만 남겨진 미술가였고, 극소수의 작가는 작품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특히 1950년대의 민족적인 상처는 작가와 작품의 파괴를 가져와 많은 작품과 작가가 소멸되었습니다. 이러한 비극을 감내하며 살아가야 했던 시대적 한계성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또한, 현재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자료만으로는 정확한 우리의 근대미술을 복원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습니다. 특히 남북 분단은 우리의 근대미술사를 완전히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했고, 북한 지역의 자료나 학문적 성과를 충분히 섭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체성 문제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술계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외세주의와 국수주의의 덫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초래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나친 외세주의는 우리의 자주성을 훼손시키고, 지나친 국수주의는 세계적인 균형감각을 잃게 만들었습니다. 자주성과 보편성의 문제는 간단히 논의하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입니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기준의 중심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경험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그러나 자주성의 전제 없는 보편성은 의미가 없으며, 세계적 보편성은 민족의 자주성을 기반으로만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20세기 한국의 미술은 민족과 세계의 고민을 반영하며, 정체성과 균형을 탐색하는 여정이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여러 어려움과 도전이 있었지만, 한국의 미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함께 이러한 역사를 이해하고 새로운 미래를 모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